본문 바로가기

암묵지/칸타빌레 · 영화 리뷰

작가 김훈 "나는 왜 쓰는가?"

반응형

원문 :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10/31/2014103103307.html


“나의 일상은 하루 3시간쯤 일하고 나머지는 노는 것이다. 바닷가 갯벌의 마을을 어슬렁거리면서 고깃배들을 보고, 어로 작업의 동작을 보고, 밀물과 썰물을 보고 어민들의 표정이나 농부들의 표정을 관찰하는 것이 나의 놀이이자 일이다. 요즘 가을 햇볕에 가오리가 빨랫줄 위에 널려 연처럼 말라가는 꼴을 보면, 그 뼈대 안에 아주 먼 옛날, 수억만년 전의 새의 느낌이 살아있다. 그런 느낌들은 나에게 굉장히 소중한 것이다. 물론 과학적인 것은 아니지만 내가 삶의 직접적인 현장에서 체득한 느낌이기 때문에 소중하다.”


“나는 내 글이나 말로 여론 형성에 기여하려는 목표가 없다. 나의 논리 앞에 남을 대령시키려는 의도가 없다. 말을 가지고 남과 정의를 다투려는 의도가 없다. 나는 나의 내면을 드러내기 위해 글을 쓴다. 내면을 드러내서 그것이 남에게 이해를 받을 수 있으면 소통이 되는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나와 남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나와 남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도 크게 나쁜 일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인생에서의 가치가 무엇이냐. 

이것은 참 어려운 건데. 

누구나 다 다른 가치가 있겠지만, 

나는 남한테 친절한 사람이 되고 싶다. 

남의 말을 듣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요즘은 사람들이 히어링 기능이 거의 없다. 

토킹만 있고 채팅만 있고 듣기가 안되는 세상이다. 

듣는 사람은 없이 떠드는 사람만 있다. 

사방에서 떠드는데 아무도 안 듣는다. 

담벼락에 떠드는 듯한 소음이 가득차 있다. 

우리 사회의 언어가 타락한 모습이다. 


남의 말을 잘 듣고 친절하고. 

얼마 전에, 책 읽은 얘기 또 하면 안되는데, 

니체를 읽었더니 이런 얘기가 있더라. 


‘정의로운 사람은 빠르게 판단하지 않는다. 

 정의로운 자는 스스로 서둘러 판단하는 것을 삼간다. 

 정의로운 자는 남의 말을 경청하는 자이고, 정의로운 자는 남에게 친절한 자다.’ 


참 평범한 문장인데 원숙한 철학자의 통찰이 보였다. 

우리는 정의로운 자가 친절한 자라고는 상상을 못하지 않나.

흔히 정의로운 자는 강력하고 우뚝하고 

자기 생각을 강요하고 남을 복종시키고 

정의의 목표를 향해 인류를 끌고 가는 것이 정의롭다고 생각하는데, 

정의로운 자는 너무나 빨리 다가오는 판단을 스스로 삼가는 자라고 니체는 썼다. 


그것을 읽고 많이 반성했다. 

정의라는 것은 남에게 친절하고 남의 말을 잘 듣고 남을 이해하는 것이구나 생각했다.



김훈 강연

조선비즈, 20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