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nancial Story/재테크 기본 이론

[재테크와 금융투자] ⑦ 간접투자 : 펀드

반응형

 

1. 펀드의 개념

 

1.1 펀드란?

투자자들의 자금을 신탁 받아 형성한 자금을, 투자전문가가 분산 투자하고 얻어진 이익을 투자 지분에 따라 배분하는 간접 투자 제도

  • 소액으로 분산 투자: 투자 전문가에 의해 관리 및 운영, 규모의 경제로 인한 비용 절감 가능
  • 수수료 및 보수 지불
  • 금융 민주주의 최고의 진보
    • " 뮤추얼 펀드는 상당히 싸고, 매우 편리하고, 일반적으로 분산화되고, 전문적으로 관리되고, 연방증권법의 가장 강경한 조항들로 엄격하게 규지되고 있다. 누구나 쉽고 여유 있게 투자하게 함으로써 뮤추얼 펀드들은 미국의 5,400만 가구를 투자의 주류로 이끌었다. 아마도 금융 민주주의가 여태까지 이룩한 것 중 최고의 진보일 것이다."

 

1.2 펀드 성장의 배경

1) 1929년 경제 대공황 이후, 금융산업규제로 현대적 펀드 급성장

  • 1924년 미국 월스트리트, 개방형 펀드 (Open-end Fund) 등장
    • 언제든지 추가 불입, 환매가 가능하며, 최소투자금액을 기존 수천, 수만 달러에서 250달러로 낮춤
  • 폐쇄형 펀드 (Close-end Fund) 의 몰락 : 검은화요일 (1929. 10. 29) 주식시장의 대폭락대공황
    • 1932년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 당선 → 각종 금융 규제법 실시
    • 증권법 (1933), 증권거래법 (1934), 증권거래위원회 설립 (1934)
    • 세법 개정 (1936) : 개방형 펀드에 비과세 혜택
    • 투자회사법 (1940) : 투자자보호제도 정착

 

2) 1970년대 : MMF, 인덱스 펀드 성장

- 1971년, 머니마켓 펀드 (MMF, Money Market Fund) : 펀드 도약의 기회 제공

  • 1970년대, 1·2차 오일쇼크 발생 → 고금리 → 예금이자 지급 제한
  • 국채, 양도성 예금증서, 회사채 등 유동성, 안전성을 지닌 증권에 투자
  • 1973년 FRB, CD 금리 제한 폐지 : MMF 높은 단기 금리 제공이 가능해짐
  • 1974~1982년, 운용자산이 20억 달러 미만에서, 2천억 달러로 100배나 커짐

인덱스 펀드: 수익률 개념의 혁명

  • Vanguard Group (뱅가드 그룹), S&P 500 지수와 연동된 인덱스 펀드 상품 (First Indext Investment Trust) 출시
  • 장기적으로 펀드의 수익률이 시장 평균 수익률을 넘을 수 없다는 가정에서 시작
  • S&P 500 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목들로 포트폴리오 구성 펀드의 수익률이 주가지수 상승률을 따라가도록 함
  • 1975년, 1,100만 달러 자산으로 시작 → 1999년, 1천억 달러를 넘어 세계 최대 펀드로 성장

 

3) 1980년대 : 퇴직연금 성장

- 펀드의 대형화를 이끈 퇴직연금 : 베이비붐 세대가 40대에 들어선 1980년대

  • 1974년, 종업원퇴직소득보장법 (ERISA, Employee Retirement Income Security Act)
  • 1981년, 조세개혁법 (Tax Reform Act)
  • → 퇴직연금과 개인퇴직 계좌에 적립금이 쌓이게 되면서, 펀드의 신규 자금 유입 규모가 크게 증가

 

4) 1990년대 : ETF 성장

- 펀드와 주식의 이중교배: ETF (Exchange Traded Fund)

  • 1993년, Nathan Most : Standard & Poor's Depositary Receipts 새로운 상품 등장
  • 교환 및 거래가 되는 펀드 : 특정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거래소에 상장시켜 주식 종목처럼 거래할 수 있게 함
  • 개장시간 중 현재가로 매매 가능, 포트폴리오 분산, 지정가 주문 가능, 저비용, 세제혜택, 공매도 가능

 

 

2. 펀드의 구조 및 특징

 

2.1 펀드 운용구조

일반적으로 펀드는 판매회사, 신탁회사, 자산운용회사, 일반사무관리회사 등으로 구성집합투자기구의 구조를 가짐

  • 신탁회사와 자산운용사 구분 : 투자자보호

펀드의 운용 구조

 

2.2 펀드 수수료

펀드에 가입 또는 매도, 환매할 때 지불하는 1회성 비용

펀드 수수료 구조

 

2.3 펀드 보수

판매 수수료와 달리 투자기간 내내 자동으로 지불되는 비용으로, 펀드 자산에서 일정 보수율에 따라 판매회사, 자산운용회사, 신탁회사, 일반사무관리회사에 지급

  • 일반적으로 주식형 펀드의 총비용 비율은 연 1.8~3.0% 수준
  • 일반적으로 채권형 펀드의 총비용 비율은 연 0.7~1.5% 내외 수준
판매 보수 판매 및 계좌관리 서비스 등의 대가로 판매 회사에 지급
운용 보수 운용의 대가로 자산운용회사에 지급
수탁 보수 펀드 재산의 보호, 관리 및 운용감시 등의 대가로 신탁회사에 지급
사무관리 보수 펀드의 기준가격 계산, 순자산가치 산정 등 신탁재산의 일반 회계업무의 대가로 일반사무관리 회사에 지급

 

2.4 거치식 펀드 vs. 적립식 펀드

거치식 펀드 적립식 펀드
- 한번에 일정 금액을 넣고 원하는 기간 후에 수익금과 원금을 찾는 펀드
- 지수 상승기에는 적립식 펀드보다 수익률이 좋고, 단기간에 고수익 가능
- 가입 시점에 따라 투자의 성패가 갈리며 목돈이 필요함
- 펀드를 선택하여 은행의 정기적금과 같이 일정기간 동안 적립하고 만기에 목돈을 찾는 형태의 금융 상품
- 시기적으로 분산투자가 가능해 상대적으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으며, 목돈 없이도 투자가 가능
- 단기적인 투자 시에 수익률이 낮음

 

2.5 적립식 펀드의 특징

- 매입 비용 평준화 효과 (Cost-averaging effect)

  • 매월 일정 금액을 투자하여, 주가가 높을 때는 적은 주식수를 매수하고 주가가 낮을 때는 많은 주식수를 매수하게 되면, 평균 매입단가가 낮아지게 됨
  • 증권 가격의 오르내림을 예측하기 힘든 경우에 장기 투자로 'Cost-averaging' 효과를 얻게 되면, 투자기간 동안의 변동성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게 됨

적립식펀드의 Cost-averaging effect (출처: NH농협은행 곽유진 과장 via 농민신문)

- 안전하게 목돈을 마련하는 정기적금과는 다른 투자상품

  • 목돈 마련을 위한 적립식 펀드 운용은 바람직하지 않음
  • 지출되지 않을 목돈이 꾸준히 들어올 경우, 분산투자를 위해 적립식 펀드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

- 적립식 펀드의 단점 : 위험하며 수익률도 높지 않은 구조

  • 적립식이 주가상승기에 수익률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거치식보다 평균 수익률이 낮아짐
  • 펀드의 평균 수익률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적립식 펀드의 경우 수익률을 더 떨어뜨림

 

2.6 환매기간

- 일반적으로 국내펀드는 환매신청 후 3~4일 내로 자금 수령 가능, 해외펀드는 8~10일 정도 소요됨

- 펀드 종류별 환매대금 지급일

상품종류 MMF 채권형 주식형, 주식혼합형 채권혼합형
환매대금 지급일 익일 제3영업일 제4영업일 제4영업일
적용기준 가격 익일 제3영업일 제2영업일 제3영업일

* 단, 외국상품은 환매대금지급일이 다를 수 있으며, 운용 중인 신탁 재산의 처분이 곤란한 경우에는 환매를 연기하거나 일부 금액만 환매할 수 있음

 

 

3. 펀드의 종류

 

3.1 펀드의 유형

구분 유형
주식투자비중 주식형펀드 / 채권형펀드 / 혼합형펀드
투자방식 거치식펀드 / 적립식펀드 / 임의식펀드
투자근거법률 역내펀드(국내/해외) / 역외펀드
투자철학 성장주펀드 / 가치주펀드
환매가능여부 개방형펀드 (≒뮤추얼펀드) / 폐쇄형펀드 (≒사모펀드)

 

3.2 펀드의 분류

1) 투자 운용대상에 따른 펀드의 분류

분류 상품 내용
증권 펀드 투자자산의 50% 이상을 증권*에 투자하는 상품
* 증권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 포함
부동산 펀드 투자자산의 50% 이상을 부동산**에 투자하는 상품
** 부동산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파생상품, 부동산 관련 유가증권 등 포함
단기금융상품 펀드 투자자산의 전부를 단기금융상품 (CD, CP 등)에 투자하는 상품
혼합자산 펀드 투자대상자산(증권, 부동산, 특별자산)과 투자비율의 제한을 받지 않고 운용할 수 있는 상품
특별자산 펀드 투자자산의 50% 이상을 특별자산***에 투자하는 상품
*** 증권 및 부동산을 제외한 상품

 

2) 유가증권 편입 비율에 따른 펀드의 분류

분류 상품 내용
채권형 운용대상에 주식은 평입하지 않고 자산 총액의 60^ 이상을 채권(금리선물 포함)으로 운용하는 상품
주식형 자산 총액의 60% 이상을 주식 (주가지수선물, 옵션 포함)으로 운용하는 상품
주식혼합형 자산 총액의 50% 이상, 60% 미만을 주식 (주가지수선물, 옵션 포함)으로 운용하는 상품
채권혼합형 자산 총액의 50% 미만을 주식 (주가지수선물, 옵션 포함)에 운용하는 상품

 

3.3 뮤추얼펀드 vs. 수익증권

1) 뮤추얼 펀드

주식을 발행하여 투자자들로부터 모은 자본금자산운용회사에 맡겨 유가증권, 파생상품, 부동산 등에 투자하도록 한 뒤 그 운용성과를 배당금 형태로 투자자에게 돌려주는 회사형 투자신탁

  • 펀드 자체가 하나의 주식회사로 설립되나 서류상의 회사로서 실체는 없음
  • 뮤추얼펀드에 투자하면 주주 신분이 됨

 

2) 수익증권

자산운용회사가 투자자로부터 모집한 자금으로 펀드를 조성하여 대신 투자, 운용한 뒤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운용 실적대로 배당하는 간접 투자상품

  • 펀드 투자자와 자산운용회사, 수탁회사 사이에 계약적 관계가 형성되므로, 계약형 투자신탁이라고도 함
  • 수익증권에 투자하면 위탁자 신분이 됨

 

3) 뮤추얼펀드와 수익증권의 비교

구분 뮤추얼펀드 (회사형 투자신탁) 수익증권
(계약형 투자신탁)
개방형 폐쇄형
설립형태 펀드 자체가 법인 (주식회사) 신탁 계약에 의한 계약 관계
투자자의 법적 지위 주주 수익자
발행증권 주식 펀드
매도 (환매) 방법 발행회사에 주식매도 (감자) 만기시 투자자금회수 또는 증권시장 통한 주식 매도 환매청구 (펀드자산 매각을 통해 지급)

 

3.4 사모펀드 vs. 공모펀드

1) 사모펀드

비공개적으로 소수 투자자들로부터 사모 방식으로 자금을 모집하여 기업의 지분 등에 사적 방법으로 투자하는 펀드

  • 고수익이지만 위험율이 큼
  • 국내 사모펀드 시장은 지난 1997년 발생한 외환위기 직후 부실 기업의 매각이 이뤄지면서 생겨나기 시작

 

2) 공모펀드

공개적으로 불특정 다수로부터의 자금을 모아 구성하는 펀드

  •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분산투자 등 자산운용 규제, 투자설명서 설명/교부 의무, 외부감사 등 엄격한 규제 적용
  • 대표적 공모펀드 규제: 분산투자 규제
    • 국가별로 상이하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일본과 동일: 동일 발행인 증권투자 비중 10% Rule

 

3.5 해외펀드

일반적인 국내펀드와 취급기관, 가입대상, 가입한도 등이 유사하지만 투자대상이 해외의 주식, 채권 및 부동산인 펀드 상품

  • 국내펀드 상품과 마찬가지로 투자자산의 비율에 따라 주식형, 채권형, 주식혼합형, 채권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국내 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고 원화로 투자되는 역내펀드와 해외투자 운용회사가 해외에서 운용하는 역외펀드로 나눌 수 있음
  • 투자자산을 운용하는 지역 (미국, 유럽, 중국, 인도 등)에 따라 브릭스(BRICs) 펀드, 차이나 펀드, 태평양 펀드, 이머징마켓 펀드 등 매우 다양함
  • 해외펀드 유의사항 :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 / 환매기간 고려 / 수수료 고려 / 세금 고려
  • 2016년 2월 ~ 2017년 12월 한시적 비과세 적용

 

3.6 인덱스펀드 vs. 상장지수 펀드

1) 인덱스펀드 (Index Fund)

증권시장의 장기적 성장 추세를 전제로, 주가지표의 움직임에 연동되게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운용함으로써 시장의 평균수익 실현을 목표로 하는 상품

  • 장점: 효율적인 분산투자 실현, 증권매매에 따른 비용 절감, 저렴한 운용 비용 등
  • 단점: 목표 인덱스보다 낮은 투자성과, 구성종목 교체의 곤란성 등

 

2) 상장지수펀드 (ETF, Exchange-Traded Fund)

안정적인 수익률이 장점인 인덱스펀드에 개별 주식의 높은 환금성이 더해진 펀드로, 거래소에 상장되어 주식처럼 거래되는 상품

  • 장점: 시장 평균의 안정적인 수익률에 높은 환금성을 추구할 수 있으며,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것보다 리스크 분산 효과로 투자 위험성을 회피할 수 있음
  • 참조: 위키피디아 상장지수펀드
  • ETF 발행기관

ETF 발행기관 및 종류

 

3.7 주가 연계 금융상품

1) 주가연계예금 (ELD, Equity Linked Deposit)

원금을 안전한 자산에 운용하여 만기시 원금은 보장되고 장래에 발생할 이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주가지수의 움직임에 연동한 파생상품에 투자하여 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상품

  • 주가지수 전망에 따라서 주가지수 상승형, 하락형 또는 횡보형 등 다양한 구조의 상품 구성 가능

 

2) 주가연계증권 (ELS, Equity Linked Securities)

운용자산의 대부분은 국공채에 투자하여 원금을 보전하고, 나머지 일부 자산을 주가와 연동된 파생상품에 투자함으로써 초과수익을 확보하는 구조의 금융상품

  • 주식시장에 직접 투자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누리면서도 리스크 회피와 비용 측면에서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 유리함

 

3) 주가연계펀드 (ELF, Equity Linked Fund)

주가연계증권과 마찬가지로 운용자산의 대부분은 국공채에 투자하여 원금을 보전하고, 나머지 일부 자산을 증권회사에서 발행한 ELS 등을 편입해 펀드 수익률이 주가에 연동되도록 설계된 펀드 (ELS 펀드)

  • 주가연계예금이나 주가연계증권이 당초에 제시된 목표 수익을 추구하는 반면, 주가연계펀드는 이러한 목표 수익보다 더 큰 추가적인 수익을 원하는 투자자에게 적당함

 

 

4) 주가연계 금융상품의 비교

구분 ELD
(주가연계예금)
ELS
(주가연계증권)
ELF
(주가연계펀드)
판매(발행)기관 은행 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
상품성격 예금 유가증권 투자신탁펀드
만기수익 지수에 따라 사전에 제시한 수익 확정 지급 운용 실적에 따라 실적배당
예금보호 보호 비보호 (발행사의 신용 중요) 비보호 (실적배당 상품)
중도해지 가능 (원금손실 가능) 불가능
(유가증권 시장에서 매도, 원금손실 발생 가능)
가능 (원금손실 가능)
장점 은행이 제시한 수익 보장 증권사가 제시한 수익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품 구성 추가수익 발생 가능
단점 추가수익 없음 제시수익 보장 없음

 

3.8 실물펀드 : 선박 펀드, 부동산 펀드 등

1) 선박 펀드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벌그선/컨테이너선 등의 선박을 건조 또는 구입한 후 이를 선박 운항회사에 빌려주고 여기서 발생하는 투자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되돌려주는 펀드

  • 선박 펀드는 비교적 높은 이자를 보통 3개월에 한 번씩 지급받을 수 있고 분리과세 혜택이 있음
  • 만기가 보통 15년이므로 노후 생활 대비에 좋으며, 선사에 빌려주는 배에 대한 담보가 설정되기 때문에 안정성이 어느 정도 확보됨

 

2) 부동산 펀드

부동산 및 부동산 관련 사업을 투자 대상으로 하는 펀드

  • 투자자금의 회수기간이 비교적 길고 유동성이 낮으며, 특정 부동산이나 개발사업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가입할 수 있는 것은 아님
  • 투자대상자산을 기준으로 부동산 펀드를 분류하면 임대형 부동산펀드, 경공매형 부동산펀드, 파생상품형 부동산펀드, 대출형 부동산펀드, 개발형 부동산펀드 등이 있음

 

3.9 리츠 (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부동산 또는 부동산과 관련된 유가증권에 투자/운용하여 발생한 수익을 투자자에게 배당하는 부동산 간접투자 방식이며, 부동산투자신탁으로도 불림

  • 일반 투자자는 리츠 주식에 공모하거나 거래소에 상장된 리츠 주식의 매매를 통해 투자에 참여 가능
  • 리츠는 부동산 매입시 발생하는 취득세와 등록세 감면을 통한 세제상의 혜택은 물론 수익성, 안정성, 부동산 투자기회 확대 측면에서 장점을 가진 부동산 간접투자 상품
  • 수익이 발생하는 방식은 리츠의 운용 및 청산에 따라 주주에게 배당을 하는 형식 (주식회사 형태)

 

3.10 부동산펀드 vs. 리츠

구분 부동산펀드 리츠 (REITs)
근거 법률 자본시장법 부동산투자회사법
자금조달 형태 주로 공모 (public offering)로 자금 조달 주로 사모 (private placements)로 자금조달
법적 형태 계약형 투자신탁 회사형 투자신탁
투자대상 설정기간이 2~3년 정도로 건설자금 대여, 오피스/상업시설 매입 등 5년 이상의 장기투자 대상에 주로 투자

 

3.11 기타 : 대체 펀드, 재간접 펀드, 랩 어카운트, 헤지펀드

1) 대체펀드

주식, 채권을 제외한 특정 자산에 금융공학 기법을 활용해서 투자하는 첨단 투자상품

  • 주식형 펀드나 채권형 펀드, 그리고 이를 섞은 혼합형 펀드 등 전통적인 펀드를 제외한 나머지 펀드들을 대체펀드로 봄
  • 대체펀드가 목표로 하는 투자수익률은 시중금리에 플러스 알파 정도의 수익을 노리는 상품이 대부분인데, '대박'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그만큼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 수 있다는 장점과 주가나 금리, 환율과 같은 외부변수들에 의한 영향이 비교적 적음

 

2) 재간접펀드 (fund of funds)

펀드 자산을 다른 펀드가 발행한 집합투자증권에 50% 이상 투자하는 펀드

  • 여러 자산운용사들이 운용하는 다양한 펀드에 동시에 가입한 것과 유사한 효과가 있어 분산투자 효과를 높일 수 있지만 판매보수 및 운용보수를 이중으로 지급하는 결과를 초래하는 등 비용부담이 일반 펀드에 비해 높을 수 있음

 

3) 랩어카운트 (wrap account)

'포장하다'라는 뜻의 'warp'과 '계좌'를 의미하는 'account'가 결합된 뜻으로, 여러 금융상품 중에서 투자자의 기호에 맞는 상품을 골라 하나의 계좌를 통해 전문가가 운용해주는 종합 자산관리계좌

  • 랩어카운트는 일임 정도에 따라 일임형, 자문형, 펀드형이 있으며
  • 거래 횟수와 상관없이 서비스의 대가로 연간 1~3%의 수수료를 내며 수시입출금이 가능함

 

4) 헤지펀드 (hedge fund)

사모의 형식으로 소수의 투자자들로부터자금을 모아 다양한 투자 대상에 다양한 투자전략 (대표적으로 저평가된 자산을 사고, 고평가된 자산은 공매도하는 롱숏전략이 있음)으로 운용하여 고위험, 고수익을 추구하는 펀드

  • 헤지펀드가 활성화되어 있는 외국의 경우와 달리 우리나라는 헤지펀드 도입 초기(2011년 말 도입)라는 점과 개인투자자의 헤지펀드 투자 전략에 대한 이해도 등으로 인해, 위험을 감수할 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고액 투자자에게만 가입이 한정되어 있음

 

 

4. 펀드 상품 읽는 법

M에셋 디스커버리 주식형 4 class C

자산운용사 / 투자전략 / 주로 어디에 투자하는지 / 시리즈 번호 / 수수료체계

  1. 자산운용사 종류
  2. 투자전략
  3. 주로 어디에 투자하는지
  4. 시리즈 번호 : 4라고 쓰면 네 번째 시리즈, 1이라고 쓰면 첫 번째 시리즈 (시리즈 번호가 높다는 것은 나름 잘 나가는 펀드를 의미)
  5. 수수료 체계: A-선취, B-후취, C-둘 다 없는 경우

펀드 상품 읽는 법 (이미지: EBS 다큐프라임 '자본주의 - EP3 금융지능은 있는가)

 

 

5. 투자 시 유의사항

1) 본인 투자성향 기준 마련

공격적 주식형/파생형 성장주 펀드 액티브(active) 펀드
보수적 채권형 가치주 펀드 패시브(passive) 펀드 : 인덱스 펀드 등

2) 펀드는 적금이 아니다

3) 펀드 가입 후 관리 

  • 가입한 펀드의 운용성과와 포트폴리오 현황 확인
  • 수익률이 유사한 펀드의 수익률이나 시장수익률에 못 미치는 경우에는 일시적/지속적 현상인지 검토
  • 잦은 펀드 매매 및 교체는 거래비용 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함
  • 펀드 관련 정보 : www.funddoctor.co.kr

 

 

# 정리하기

  1. 펀드란: 투자자들의 자금을 신탁 받아 형성한 자금을 투자전문가가 분산투자하고 얻어진 이익을 투자지분에 따라 배분하는 간접투자상품
    • 장점: 소액으로도 분산투자가 가능하여 투자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음
  2. 현대적 펀드시장
    • 1930년대 대공황으로 금융규제가 시작되면서 열리기 시작, 개인투자자가 쉽게 가입할 수 있는 개방형 펀드 시장이 금융규제를 통해서 열리게 된 것
    • 이후 1970년대 오일쇼크로 시장금리가 치솟게 되는 등 금융환경이 악화되면서 단기금융시장에 투자하는 머니마켓펀드(MMF)가 등장하고 1980년대까지 큰 성장을 지속
    • 1980년대 들어서 인덱스펀드, 퇴직저축 등을 통해서 펀드 규모의 대형화 진행
    • 1990년대 펀드와 주식이 결합된 ETF 등장으로 비약적인 성장을 지속
  3. 일반적인 펀드의 구조: 펀드판매회사와 자금을 운용하는 자산운용회사, 자금을 보관 관리하는 신탁회사, 일반사무를 보는 사무관리회사로 구성되는 집합투자기구 형태
    • 자산운용회사와 신탁회사를 분리해서 두는 이유: 운용사가 임의로 자금을 사용할 수 없게 하여 투자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 이러한 펀드 구조로 인해, 투자자는 집합투자기구 구성회사들에 각각 수수료 및 운용보수를 지급해야함
  4. 불입방법에 따라: 목돈을 한꺼번에 투자하는 '거치식 펀드'와 정기적으로 나눠서 투자하는 '적립식 펀드'
    • 정립식 펀드의 장점: 매월 일정액으로 주가가 쌀 때 많이 사들이고 비쌀 때 적게 사들여 전체적인 평균 매입단가를 낮춰서 이익을 내는 수익구조 (즉, 코스트에버리징 효과)
  5. 주식투자비중, 투자방식, 투자근거법률, 투자철학, 환매가능여부 등의 기준에 따라 펀드 유형별로 구분
    • 주식투자비중에 따라: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펀드
    • 투자방식에 따라: 거치식, 적립식, 임의식 펀드
    • 투자근거 법률에 따라: 역내, 역외펀드
    • 투자철학에 따라: 성장주, 가치주 펀드
    • 환매가능 여부에 따라: 개방형, 폐쇄형 펀드
  6. 뮤추얼 펀드: 투자자들의 자금을 모아 유가증권, 파생상품, 부동산 등에 투자한 후 그 수익을 배분한다는 점에서 수익증권과 차이가 없으나 뮤추얼 펀드는 펀드 자체가 하나의 법인(주식회사)
    • 투자자는 회사의 주식을 매수하는 개념 (즉, 투자자의 법적지위가 주주가 된다는 차이점이 있음)
  7. 공모펀드: 공개적으로 특정하지 않은 많은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으는 것
    • 투자자 보호를 위해서 다양한 규제를 받는데, 대표적인 자산운용규제로서 동일종목이나 동일 법인이 발행한 지분증권 총수의 10% 이상을 투자할 수 없는 등의 제한이 있음
  8. 사모펀드: 소수의 투자자(기관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주식이나 채권 등에 투자하여 운용하는 펀드
    • 제한이 없어 이익이 발생할 만한 어떠한 투자대상에도 투자할 수 있음
  9. 인덱스펀드
    • 주가지수의 흐름을 가장 잘 반영하는 기업을 선별한 후 이 기업들의 주식에 투자해 시장의 평균 수익을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되고 운용되는 펀드
  10. 상장지수펀드(ETF) 
    • 특정주가지수를 따라가는 수익을 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인덱스 펀드이지만 일반주식처럼 거래소에 상장하여 주식과 같은 방법으로 거래.
  11. 펀드 투자시에는 본인의 투자성향을 파악한 후 실시
    1. 펀드는 적금이 아니며, 원금 손실 발생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
    2. 가입 후 관리도 필수적: 가입한 펀드의 운용성과와 현황을 지속적으로 확인해야하며, 잦은 펀드의 매매 및 교체는 거래비용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음

 

 

방송대 경제학과, 재테크와 금융투자 - 강의 노트 정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