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네트워킹 소개
- 정의
- 네트워킹은 컴퓨터와 장치들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 현대 IT 시스템의 핵심으로, 효율적인 통신과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함.
- 구성 요소
- 노드(Node):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로, 컴퓨터, 서버, 라우터, 프린터 등이 포함됨
- 링크(Link): 노드를 연결하는 물리적(유선) 또는 무선(Wi-Fi) 경로
- 네트워크 장비: 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의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고 데이터 전송을 제어함.
- 네트워크 유형
- LAN (근거리 통신망): 작은 지리적 범위(예: 사무실, 집)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 WAN (광역 통신망): 넓은 지역(예: 도시, 국가)을 연결하며, 인터넷이 대표적인 예
2. TCP/IP 프로토콜
- 목적
- TCP/IP는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표준 프로토콜
-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됨.
- 구조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사용자가 접하는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 (예: 웹 브라우저, 이메일).
- 주요 프로토콜: HTTP, FTP, DNS.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정확성을 보장.
- 주요 프로토콜: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신뢰할 수 있는 연결, 데이터 패킷 순서 보장.
- UDP (User Datagram Protocol): 속도 우선의 비신뢰성 전송.
- 주요 프로토콜:
-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 데이터 패킷의 주소 지정 및 경로 설정(IP 주소).
- IPv4와 IPv6로 구분.
- 링크 계층 (Link Layer) : 물리적 네트워크 하드웨어(예: 이더넷 케이블)와 데이터 전송을 처리.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사용자가 접하는 서비스 및 응용 프로그램 (예: 웹 브라우저, 이메일).
- TCP의 주요 특징
- 연결 지향적 통신: 송신자와 수신자 간 신뢰할 수 있는 연결을 설정.
- 3단계 핸드셰이크: 데이터 전송 시작 전에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
- 송신자가 SYN 신호를 보냄.
- 수신자가 SYN-ACK로 응답.
- 송신자가 ACK로 확인.
3. 이더넷 기본
- 정의 : 이더넷은 유선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표준 기술로, 네트워크 장치 간 빠르고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함.
- 구성 요소
- MAC 주소: 네트워크 장치의 고유 식별 번호. 데이터가 올바른 장치로 전송되도록 함.
- 프레임(Frame): 데이터 패킷의 기본 단위. 헤더, 페이로드, 트레일러로 구성.
- 헤더(Header): 발신지와 목적지 주소 포함.
- 페이로드(Payload): 실제 전송 데이터.
- 트레일러(Trailer): 오류 검출을 위한 정보 포함.
- 이더넷 유형
- 패스트 이더넷: 최대 100 Mbps 속도를 지원.
- 기가비트 이더넷: 최대 1 Gbps 속도를 제공.
- 10G 이더넷: 고속 데이터 센터와 기업 네트워크에서 사용.
- 스위치(Switch) : 네트워크에서 여러 장치를 효율적으로 연결하며 데이터 전송 경로를 최적화.
4. 데이터 센터 설계 고려사항
- 설계 목표
- 확장성(Scalability): 미래의 네트워크 확장 요구를 수용.
- 신뢰성(Reliability): 네트워크 가용성을 보장하고 장애를 최소화.
- 효율성(Efficiency): 전력 및 자원 사용을 최적화.
- 네트워크 토폴로지
- 트리 구조(Tree Topology): 계층적으로 구성된 네트워크로, 중앙에서 데이터를 관리.
- 스파인-리프 구조(Spine-Leaf Topology): 데이터 센터에서 대역폭과 지연 시간을 최적화하는 구조.
- Spine: 주요 경로를 담당하는 백본 장치.
- Leaf: 말단 장치(서버 등)와 연결.
- 핵심 고려사항
- 전력 및 냉각(Power and Cooling) :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 센터 운영을 위해 전력 소비와 냉각 시스템을 최적화.
- 중복성(Redundancy) :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높이기 위해 중복 경로와 장치를 사용.
- 보안(Security) : 방화벽, 데이터 암호화, 침입 탐지 시스템(IDS) 등을 통해 데이터 및 네트워크 보호.
(source : 코세라 엔비디아)
반응형
'Biusiness Insight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S 2025]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는 AI, 엔비디아 젠슨 황 키노트 전문 요약 (1) | 2025.01.08 |
---|---|
[NVIDIA] AI 인프라 및 운영 - ③ AI 운영 (2) | 2024.12.24 |
[NVIDIA] AI 인프라 및 운영 - ② AI 인프라 (2) | 2024.12.23 |
[NVIDIA] AI 인프라 및 운영 - ① AI 소개 (3) | 2024.12.18 |
Google Cloud Summit Seoul 2024 참관 (0) | 2024.07.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