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묵지/추억의 책장 · 메모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

반응형
Part 02 뇌과학을 알면 공부의 길이 보인다
 
공부는 머리로만 하는게 아니다.

니체는 14세 때 처음으로 자서전을 썼다고 한다. 그런데 그 제목이 거창하다. '나는 위대하다'. 어린 나이의 치기 혹은 과대망상이라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가 44세가 되어 본격적으로 쓴 자서전 제목도 '이 사람을 보라'. 역시 거창하다. 제목에서부터 '세계인이여, 이 천재를 주목하라'고 선언하고 있는 것이다. 목차를 훑어보면 더욱 놀랍다. '나는 왜 이렇게 현명한가', '나는 왜 이렇게 영리한가', '나는 왜 이렇게 책을 쓰나' 등 진심인지 망상인지, 겸손이라고는 찾아볼 수가 없다.
어쨌거나 그의 글에 대한 판단은 잠시 접어 두자. 중요한 것은 이런 강력한 자기 암시가 목표 달성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이다. 온 인류의 고민을 내 손으로 해결한다는 이런 자기 암시가 실존주의의 선구자, 니체를 만들어 낸 것이다.

뇌는 모험을 좋아한다.

뇌과학에서는 첫 번째 펭귄(First Penguin) 이야기가 자주 등장한다. 펭귄은 물에 들어가야 먹이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물속에서는 바다표범 등 무서운 사냥꾼이 기다리고 있다. 펭귄 입장에선 주저할 수밖에 없다. 모두들 주춤거리고 있는데 한 마리가 뛰어든다. 이것이 첫 번째 펭귄이다. 불확실의 위험을 감수한 용감한 놈이다. 그제야 다른 펭귄도 따라 뛰어든다.
인간도 심각한 불확실의 세계에 살고 있다. 그렇다고 언제까지나 그 자리에서 머뭇거릴 순 없다. 언젠가는 결단을 내리고 행동해야 한다. 물론 이성적으로 상황을 판단한 후 합리적인 결정을 하겠지만, 여기엔 무엇보다 적당한 긴장과 불안이 개입될 수 밖에 없다. 고맙게도 뇌가 적정한 범위에서의 불확실을 즐기고 있다는 사실은 큰 위안이다.





<공부하는 독종이 살아남는다>
정신과 전문의 이시형 박사 지음
중앙북스, 20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