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보기

(1058)
[경제금융용어] 거시건전성 정책 (Macroprudential policy) 거시건전성 정책 (Macroprudential policy) 용어정의개별 금융회사의 부실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미시건전성정책(microprudential policy)과 달리 경제전체의 금융안정을 위해 시스템 리스크(systemic risk)를 억제하는 정책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거시건전성정책(macroprudential policy)의 목표는 시스템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 과도한 금융불균형 축적 억제, 급격한 되돌림 현상(unwinding) 완화, 금융시스템의 복원력(resilience) 강화, 금융연계성 제어 등을 통해 금융위기의 발생가능성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spillover effects)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거시건전성정책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등 여러 다른 정책과 긴밀히..
[경제금융용어] 갑기금 (capital A) 갑기금 (capital A) 용어정의외국은행 국내지점의 대차대조표상 자본금 계정으로 ①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설치 및 영업행위를 위하여 본점이 한국은행 등에 외화자금을 매각하여 해당 지점에 공급한 원화 자금 ② 해당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적립금에서 전입하는 자금 ③ 외국은행 국내지점을 추가로 설치하기 위하여 이미 국내에 설치된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이월이익잉여금에서 전입하는 자금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갑기금은 금융위원회로부터 인정받은 금액에 한하여 지점별로 관리하되 각 외은지점의 갑기금은 3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은행법 시행령」 제26조, 「은행업 감독규정」 제11조) 개요갑기금 설정외국 본점에서 한국 내 지점 운영을 위해 일정 자본금을 송금.이 금액은 금융당국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하며, 대차대조표상 "..
[にほんご] 일본어 키보드 설정 및 자판 ■ 언어 설치 및 설정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 [ 언어 추가 ] → 설치할 언어 선택 " 일본어 " → [ 다음/설치 ] - 키보드 전환 : 윈도우키 + 스페이스 바 ■ 자판(source: 위키피디아)  ■ 언어 설정/변환 없이 일본어 입력 방법유니코드 표 : https://www.unicode.org/charts/PDF/U3040.pdf일본어 입력(웹) : https://www.freemorn.com/keyboard/japanese/구글 입력기 (일본어 선택) : https://www.google.com/intl/ko/inputtools/try/ ■ 히라가나 (ひらがな) 50음도* source : https://ko.wikipedia.org/wiki/%ED%9E%88%EB%9D%BC%EA%..
[경제금융용어] 감응도계수 (感應度係數,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감응도계수 (感應度係數,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 전방연쇄효과) 용어정의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여 각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 전산업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크기로 표시한 것이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이다. 전방연쇄효과는 감응도계수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감응도계수는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한 단위씩 증가하였을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로서 그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의 합계를 전산업의 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철강을 예로 든다면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이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철강 품목의 생산을 유발하는데, 감응도계수란 이때철강의 생산유발의..
[경제금융용어] 감독자협의회 (Supervisory Council) 감독자협의회 (Supervisory Council) 용어정의다국적 금융기관들에 대한 효과적인 규제・감독을 위하여 다국적 금융기관의 본점이 소재한 국가(home country)의 감독 당국과 동 기관의 지점 또는 자회사가 소재한 진출국(host country)의 감독 당국들로 구성된 정보공유 및 감독협력 협의체를 의미한다. 금융기관의 영업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규제・감독이 금융기관의 국적 또는 지역기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개요주요 목적정책 조율:규제기관 간의 정보 공유 및 정책 통합을 통해 감독 체계의 효율성을 제고. 중복 규제 방지와 일관성 확보.위기 대응: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에 대비하여 협력 메커니즘을 마련하고, 공동 위기 대응 방안을..
[경제금융용어] 간접세/직접세 (Indirect tax, Direct tax) 간접세/직접세 (Indirect tax, Direct tax) 용어정의조세는 납세의무자와 실제로 세금을 부담하게 되는 조세부담자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간접세(indirect tax)와 직접세(direct tax)로 구분된다.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여 조세부담이 전가(轉嫁)되지 않는 조세를 직접세라고 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등이 있다. 이와 달리 납세의무자와 조세부 담자가 일치하지 않고 조세의 부담이 타인에게 전가되는 세금을 간접세라고 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등이 있다. 간접세는 조세에 대한 저항이 적고 징수가 간편하여 조세수입의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개인의 사정을 고려할 수 ..
[경제금융용어] 간접금융/직접금융 (Indirect financing, Direct financing) 간접금융/직접금융 (Indirect financing, Direct financing) 용어정의경제에는 자금 잉여주체와 자금 부족주체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들 사이에 은행이나 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 등 금융기관이 개입하여 자금을 중개하는 방식을 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이라고 한다. 즉 금융기관이 일반 대중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를 자신의 명의로 기업 등 다른 경제주체에게 대출해 주는 방식이다. 한편 주식, 채권 발행의 경우와 같이 자금수요자가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금융시장에서 직접 필요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직접금융(direct financing)이라고 한다. 간접금융에서는 은행이 중추적인 기능을 하고, 직접금융에서는 주식과 채권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직접금융과..
[경제금융용어] 가상통화공개 (ICO; Initial Coin Offering) 가상통화공개 (ICO; Initial Coin Offering)  용어정의가상통화(ICO; Initial Coin Offering) 공개는 주로 혁신적인 신생기업(startup)이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 또는 디지털 토큰(digital token, 일종의 투자증명)을 이용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의 한 방식이다. 가상통화공개(ICO)에서 새로 발행된 암호화화폐는 법화(legal tender) 또는 비트코인 등 기존의 가상통화와 교환되어 투자자에게 팔린다. 이 용어는 거래소에 상장하려는 기업이 투자자에게 자기 주식을 처음 공개적으로 매도하는 기업공개(IPO; Initial Public Offering)에서 연유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기업공개(IPO)..
[경제금융용어] 가상통화 (Virtual currency) 가동률 (Capacity Utilization Rate) 용어정의가상통화(virtual currency)는 중앙은행이나 금융기관이 아닌 민간에서 블록체인을 기반 기술로 하여 발행・유통되는 ‘가치의 전자적 표시’(digital representation of value)로서 비트코인이 가장 대표적인 가상통화이다. 비트코인 등장 이전에는 특별한 법적 근거 없이 민간 기업이 발행하고 인터넷공간에서 사용되는 사이버머니(게임머니 등)나 온・오프라인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포인트를 가상통화로 통칭하였다. 그러나 2009년 비트코인이 등장하면서 가상통화의 개념이 변화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블록체인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중앙운영 기관 없이 P2P(peer-to-peer) 거래가 가능한 분산형 시스템을 통해 발행・유통된다..
[경제금융용어] 가산금리 (加算金利, Spread) 가산금리 (加算金利, Spread) 용어정의기준금리에 신용도 등의 차이에 따라 달리 덧붙이는 금리를 가산금리(또는 스프레드, spread)라고 한다. 예를 들어 은행이 대출금리를 결정할 때 고객의 신용위험에 따라 조달금리에 추가하는 금리를 말한다. 한편 만기가 길어지면 추가로 가산되는 금리를 기간 가산금리(텀스프레드, term spread)라고 하는데 이것도 일종의 스프레드이다. 통상 신용도가 높으면 가산금리가 낮고, 신용도가 낮으면 가산금리 즉 스프레드는 커진다. 한편 채권시장에서는 비교대상이 되는 금융상품의 기준금리에 대비한 차이를 스프레드라고 한다. 보통 해외에서 채권을 발행할 때 동일한 만기의 미국 국채(Treasury Bond)나 리보(LIBOR, 런던은행간금리)가 기준금리가 되고 여기에 신용도..
[경제금융용어] 가변예치의무제도 (Variable Deposit Requirement) 가변예치의무제도 (Variable Deposit Requirement) 용어정의국경간 자본유출입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을 낮추어 투자를 활성화하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단기간에 대규모로 이루어질 경우 환율 또는 증권가격의 급등락을 불러와 경제 안정을 해칠 수도 있다. 이러한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한 제도의 하나가 가변예치의무제도이다. 동 제도는 외국으로부터 유입된 자금에 대해 일정 비율의 예치의무를 부과함으로써 국경간 자본 유출입의 규모와 속도를 조절하는 수단이다. 우리나라는 외국환거래법에서 국제수지 및 국제금융 상 심각한 어려움에 처하는 경우와 통화정책・환율정책 및 기타 거시경제정책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기획재정부장관이 해당 자본 거래와 관련하여 취득하는 지급수단의 일부를 한국은행・외국환..
[경제금융용어] 가동률 (Capacity Utilization Rate) 가동률 (Capacity Utilization Rate) 용어정의생산능력 대비 생산실적의 백분율(생산실적/생산능력×100)로,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나타내는 경제지표이다. 여기서 생산능력이란 사업체가 정상적인 설비, 인력, 조업시간 등 조업환경 하에서 생산할 때 최대 생산 가능량(적정생산능력)을 의미한다. 생산설비의 가동상황인 가동률은 경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는데 이는 기업들이 앞으로의 경기 예상에 따라 가동률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으로 생산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다만 가동률이 높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닌데, 이는 경기가 침체된 상황에서 높은 가동률은 앞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희망적인 신호로 인식되지만 경기가 활황세인 상황에서 지나치게 높은 가동률은 오히려 인플..
[경제금융용어] 가교은행 (Bridge Bank) 가교은행 (Bridge Bank) 용어정의청산 대상 금융기관의 자산, 부채를 임시로 넘겨받아 예금, 출금 등의 업무를 대행하고 합병, 채권채무관계 조정 등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은행을 말한다. 금융기관이 파산한 경우 예금보험제도는 청산, 매각, 자산부채승계,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 등의 수단을 통해 부실 금융기관을 처리한다. 이 중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방식은 파산은행의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할 경우 사용되며 새로운 은행을 설립하여 자산, 부채를 포괄승계하도록 하고, 인수 희망자를 물색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게 된다. 가교은행을 이용한 처리방식은 금융기관 파산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고 시간적인 여유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임무를 마치면 정리대상 금융기관과 마찬가지로 없어지는 한시적 기..
[경제금융용어] 가계처분가능소득 (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 가계처분가능소득 (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 용어정의가계처분가능소득(PDI, Personal Disposable Income)은 가계가 맘대로 소비와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의미한다. 흔히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파악해 볼 수 있는 지표로 1인당 GNI가 널리 쓰이고 있으나 국민총소득에는 가계 뿐 아니라 기업 금융기관 정부가 벌어 들인 소득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과 금융기관 등이 가계부문보다 더 많은 소득을 벌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높아진 경우에는 가계가 느끼는 체감경기는 전체 경기와 괴리가 있게 된다.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 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은 가계부문의 총처분가능소득을 연앙인구로 나누어 계..
[NVIDIA] 네트워킹 1. 네트워킹 소개 정의네트워킹은 컴퓨터와 장치들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받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현대 IT 시스템의 핵심으로, 효율적인 통신과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함.구성 요소노드(Node):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장치로, 컴퓨터, 서버, 라우터, 프린터 등이 포함됨링크(Link): 노드를 연결하는 물리적(유선) 또는 무선(Wi-Fi) 경로네트워크 장비: 라우터, 스위치, 허브 등의 장치가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고 데이터 전송을 제어함.네트워크 유형LAN (근거리 통신망): 작은 지리적 범위(예: 사무실, 집)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WAN (광역 통신망): 넓은 지역(예: 도시, 국가)을 연결하며, 인터넷이 대표적인 예   2. TCP/IP 프로토콜 목적TCP/IP는 네트워크에서 데이..
[NVIDIA] AI 인프라 및 운영 - ③ AI 운영 13. AI 데이터 센터 관리 및 모니터링13.1 Key Messages클러스터 관리 (Cluster Management)인프라 프로비저닝 (Infrastructure Provisioning)자원 관리 (Resource Management)작업 관리 (Workload Management)프로비저닝 (Provisioning Tools) : 프로비저닝은 하드웨어에 소프트웨어와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과정모니터링 도구 (Monitoring Tools) : 모니터링은 AI 인프라 및 해당 소프트웨어, 서비스, 실행 중인 작업(job)의 상태와 매트릭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작업 관리 (Workload Management) : 자원할당, 작업 스케줄링 (Scheduling Jobs), 자원 사용량 모니터링 (Monit..
[경제금융용어] 가계신용통계 (Household Credit Statistics) 가계신용통계 (Household Credit Statistics) 용어정의가계신용통계는 가계부문에 대한 신용공급 규모를 나타내는 통계이다. 가계신용은 금융기관뿐 아니라 정부, 판매회사 등 기타기관이 가계에 제공한 대출과 외상구매 관련 신용을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크게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분된다. 현재 가계신용통계는 2002년 말 잔액부터 분기별로 제공되고 있다. 가계신용통계는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부채 규모 및 변동 등을 파악하는 데 널리 활용되고 있다.개요가계신용은 가계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대출과 외상 구매 대금을 합한 금액.가계의 부채 수준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가계대출과 판매신용으로 구성됨.가계대출: 예금은행, 저축은행, 보험사, 신용카드사, 할부금융사 등 다양한 금융기관이 가계에 제공..
[경제금융용어] 가계순저축률 (Household Net Savings Rate) 가계순저축률 (Household Net Savings Rate) 용어정의일반적으로 저축률은 저축액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마찬가지로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순저축액을 가계순처분가능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여기서 사회적 현물이전(social transfer in kind)이란 정부 등이 가계에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로서 무상교육, 보건소의 무상진료 등이 해당된다. 또한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분모에 더하는 이유는 퇴직연금 등과 같이 가계가 납부한 연금부담금과 연금수취액의 차액을 반영해야 가계부문의 저축액을 정확히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문의 저축성향을..
[NVIDIA] AI 인프라 및 운영 - ② AI 인프라 7. 데이터센터 플랫폼7.1 Key messageNVIDIA 플랫폼 (NVIDIA Platform) : 현대 데이터 센터에서 가속 컴퓨팅을 위한 풀 스택 플랫폼 제공데이터 센터 GPU (Data Center GPUs) : 블랙웰(Blackwell), 호퍼(Hopper), 에이다 러브레이스(Ada Lovelace)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한 B200, H100, L40S와 같은 다양한 데이터 센터 GPU를 제공멀티 GPU 시스템 (Multi-GPU Systems) : NVLink 및 NVSwitch를 통한 고대역폭 GPU간 통신을 지원하는 DGX100 및 DGX B200과 같은 멀티 GPU 시스템을 제공BlueField 플랫폼 및 DOCA (BlueField Platform and DOCA) : BlueFie..
[경제금융용어] 가계수지 (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가계수지 (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 용어 정의가정에서 일정 기간의 수입(명목소득)과 지출을 비교해서 남았는지 모자랐는지를 표시한 것을 가계수지(household's total income and expenditure)라 한다. 가계수지가 흑자를 냈다면 그 가정은 벌어들인 수입 일부만을 사용했다는 것을 의미하며, 적자를 냈다면 수입 외에 빚을 추가로 얻어 사용한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우리나라는 통계청에서 가계의 수입과 지출을 조사하여 국민의 소득수준 및 생활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표본으로 선정된 가계에 가계부를 나누어 주고 한 달간의 소득과 지출을 기록하도록 한 다음 이를 토대로 가계수지 통계를 작성하여 발표하고 있다. 가계부의 소득항목에는 근로소득 사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