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석유 (Petroleum) : Petra (돌) + Oleum (기름) - 탄화수소의 혼합물
- 원유 (Crude Oil) : 유정에서 생산된 정제하지 않은 석유
- 주요 단위
. 1 톤(Tone) = 7.3 배럴(Barrel) = 1,160 리터(L)
. 1 드럼(Drum) = 200 리터(L)
. 1 배럴(Barrel) = 159 리터(L)
※ 그래프(Real Price)는 과거 명목 가격에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현재의 기준을 환산한 가격
석유의 발견 (Discovery of Petroleum But Confused market)과 오일 시대의 탄생 (Birth of Oil Age)
⊙ 1859 - Edwin Drake(미국 펜실베니아) 최초로 원유 생산 성공
⊙ 1870 - 존 록펠러(John D. Rockefeller)에 의해 스탠더드 오일(Standard Oil) 설립, 석유중개 사업 → 19세기 말까지 미국 석유시장의 90% 이상 장악
⊙ 당시 펜실베니아에 설립된 석유거래시장 뉴욕 등 여러 지역으로 확장 → 현물(spot)과 선물(futures) 거래 본격적 시작
⊙ 1908 - 중동지역(이란)에서 처음으로 석유 발견
⊙ 1911 - 반트러스트법에 의해 스탠다드 오일이 34개로 분할 → 2차 대전 이후 엑슨, 모빌 등이 오일 메이저(Oil Major)로 성장
오일 시대 도래 (Advent of Oil Age), 오일메이저의 패권
⊙ 국제유가 : 1948~1968년까지, 배럴당 2.5~3 USD 수준
⊙ 오일메이저 7 자매 (Seven Sisters)가 지배하는 과잉공급의 시대
- 미국계 : 엑손(Exxon, 스탠다드 오일 뉴저지), 모빌(Mobil, 스탠다드 오일 뉴욕), 쉐브론(Chevron, 스탠다드 오일 캘리포니아), 텍사코(Texaco), 걸프오일(Gulf)
- 영국계 : 비피(BP, 앵글로 페르시안 오일) - 이란 유전개발을 통해 성장
- 영국+네덜란드 합작 : 로얄더치셸(Royal Dutch Shell) - 인도네시아 유전개발을 위해 네덜란드 왕립회사 설립(로얄더치)
- 7자매는 석유개발 상류(Upstream)부터, 하류(Downstream)까지 수직, 지속적 기술개발, 석유자원 보유국과 긴밀한 관계를 통한 진입장벽 형성 → 국제 석유시장의 지배적 위치 유지
- 원유 생산이 가장 많은 텍사스 인근 주에서 텍사스철도위원회(TRRC, Texas Railroad Commission)가 생산량 통제
- 1949 - 오일메이저 7자매가 전세계 석유거래 88% 수준 유정 소유
- 오일메이저 7자매가 주도하는 America 계열 중심의 과점적 국제석유산업 → 추후 자원민족주의에 영향을 줌
- 국제유가 결정 : 산유국과 오일메이저 7자매가 정한 공시가격(Posted Price)으로 결정 → 국제유가 주도권 미국(당시 세계 석유생산의 25%)
- 1960년대부터 약 10년 사이 - 50여개 국영 석유기업과 300여개 독립계 E&P 가세
- 전세계 석유소비 증가 : 1960년, 21.4백만 배럴 → 1970년, 46만 배럴 (2배 이상)
- 1971 - 미국 텍사스철도위원회 생산량 통제 중단
OPEC의 지배와 자원민족주의 탄생 (Rise and Collapse of OPEC)
⊙ 국제유가 : 3 USD → 13 USD → 34 USD (폭등)
⊙ 자원민족주의 본격화 : OPEC 국가 주도
⊙ 오일쇼크 (1차 1973년, 2차 1978년) : 금수, 감산, 가격 인상
⊙ 석유자산 국유화 : 석유 계약 구조 변화
석유수출국 기구 (OPEC, organization of the Petroleum Exporting Contries)
⊙ 1960년 9월 - 5개 산유국(베네수엘라, 이란, 이라크,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에 의해 석유 정책을 조정하기 위해 결성
⊙ OPEC에 신규 회원국 추가 가입 : 1961(카타르), 1962(인도네시아, 리비아), 1967(아부다비), 1969(알제리), 1971(나이지리아), 1973(에콰도르), 1975(가봉)
⊙ OPEC 본부는 오스트리아 빈에 위치, 최고 의결기관인 총회와 이사회, 사무총장, 사무국, 경제위원회 등으로 구성
⊙ 오일쇼크 이후 막강한 영향력 행사
1차 오일쇼크(Oil Shork)
⊙ 국제유가 : 1960년대, 3 USD → 1974년, 13 USD
⊙ 1973 - 욤 키푸르 전쟁(Yomkippur War, 이스라엘-아랍間 전쟁) : 아랍 국가들의 석유 무기화(이스라엘 지원국에 대한 석유 금수조치 단행)로 인한 세계 석유시장 구조 재편의 계기
- 이스라엘 승리(미국과 협공하여 팔레스타인 공격)
- 산유국들이 이스라엘 철수 후 팔레스타인 권리 회복될 때까지 석유로 경제보복(매월 원유 생산 전월대비 5% 감산)
- 원유 가격 4배 폭등하여 전 세계 불황
- 1974 - 국제유가 배럴당 12 USD 까지 상승 (기존 : 배럴당 3 USD 수준), 국제유가는 전적으로 OPEC에 의해 결정
- 1978년까지 국제유가 안정적 수준 유지 (배럴당 13 USD)
2차 오일 쇼크(Oil Shrok)
⊙ 국제유가 : 1978년, 12 USD → 1980년, 30 USD → 1981년, 34 USD
⊙ 1978 - 이란 국내 혼란 및 이슬람 혁명
- 이란의 반미 성향 혁명정부가 친미정권을 처단하고 석유수출 중단
- 이란(세계 석유 공급량 15%)의 석유수출 금지는 세계 각국 경제 혼란 야기
⊙ 1980 - 이란-이라크間 전쟁 (국경문제)
- 국제유가 배럴당 30 USD까지 상승
- 한국 경제성장률도 2차 오일쇼크로 큰 타격을 받아 1980년 마이너스 성장률 기록
- 1985년까지 OPEC 국가들의 쿼터 조정을 통해 국제유가 30 USD 대 유지
- 1,2차 오일쇼크를 거치며 국제유가는 7년간 10배 상승, 미국 달러가 기축통화로 완전히 자리 잡게 됨
오일쇼크 이후, 1980년대 세계 석유시장의 구조적 변화
⊙ 국제유가 : 오일쇼크 이후 한동안 20~30 USD 수준 → 2001년, 23 USD → 2003년, 27 USD → 2005년, 49 USD → 2007년, 72 USD → 2008년, 92 USD
1) OPEC 분열과 영향력 약화
⊙ 1985 - OPEC내에서 잔여 생산자(Swing producer) 역할을 하던 사우디아라비아가 생산량 억제를 포기하고 증산 결정에 따른 OPEC 결속력 약화 국제유가 급락(30 USD → 10 USD 수준)
2) 석유 소비량 감소
⊙ 1,2차 오일쇼크 이후 미국, 서유럽, 일본 등 대형 석유 소비국들이 에너지 절약과 에너지 효율성 향상 노력을 통해 석유 소비량을 줄임
⊙ 각국이 석유의존형 경제의 심각한 위험을 인식하고 에너지 소비량 억제와 안정적 공급 확보가 에너지 정책 목표가 됨
3) 고유가로 인한 중동 외 다른 지역(非OPEC)에서 석유개발 및 탐사를 촉진 시키는 계기
⊙ 과거에는 높은 생산비용으로 경제성이 없었던 유전이 개발되기 시작 → 브렌트유 생
⊙ 천연가스 개발과 원자력 발전의 확대 → 에너지원 다변
⊙ 러시아와 북해를 비롯한 다른 지역 석유 생산량 증가 → OPEC의 생산비중 꾸준히 감소
⊙ 석유시장 점유율 변동 - (오일쇼크 전) OPEC:비OPEC 비율, 6:4 → (1980년 무렵) OPEC:비OPEC 비율, 3:7 수준으로 반전
4) 현물시장 발달로 국제유가 결정구조가 변함
⊙ 1980년대 초반까지 국제시장에서 OPEC의 영향력이 절대적이었고, 유가는 정부 판매 가격(Govenrment Selling Price, GSP)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였으나, 1980년대 중반부터 비 OPEC 지역에서 생산된 석유가 현물시장으로 더 많이 공급되며 현물시장 상승
⊙ 1981 - 영국 런던 국제석유거래소(IPE, International Petroleum Exchange of London Ltd. - 에너지 선물(futures, 先物)및 옵션 거래소) 설립
⊙ 1983 - 미국 뉴욕 상품거래소(NYMEX)에서 WTI 선물 거래 시작
⊙ 1988 - 국제석유거래소에서 북해산 브렌트유 선물 거래 시작
⊙ 1985년 기점으로 세계 석유시장 개편
1. 생산자 시장/소비자 시장으로 변화
2. 고유가 시기에서 저유가 시기로 진입
3. 정치재(Political goods)의 성격을 점차 벗어나, 경제재(economic goods)의 성격을 띠기 시작
황금 시대와 신고유가 (Golden Age and High Price Boomerang)
⊙ 국제유가 : 2000년, 30 USD → 2010년, 120 USD (지속상승) → 2011~2014년 초반까지, 100~130 USD 박스권 유지
⊙ 사우디 중심 산유국의 고유가 향유
⊙ 중국 등 신흥국 수요 급증
국제유가 지속상승
⊙ 오일쇼크 이후 한동안 20~30 USD 수준 유지
⊙ 연평균 국제유가 : 2003년, 29 USD → 2004년, 38 USD → 2005년, 55 USD → 2006년, 65 USD → 2007년, 72 USD → 2008년, 97 USD
⊙ 2008년 9월 - 리먼브러더스 사건 → 글로벌 금융위기
ㄴ 국제유가 급변 : 2008년 7월, 147.27 USD → 2008년 12월, 40 USD 붕괴 → 2009년 초, 33 USD
⊙ 2011 - 이집트 민주화 시위 → 아랍의 봄
ㄴ연평균 국제유가 : 2011년, 111 USD → 2012년, 112 USD → 2014년 12월, 100 USD 붕괴
세계 석유시장의 구조적 변화
1) 중국, 인도 등 대규모 신흥 석유 소비국 등장
⊙ 중국의 석유 소비 급등 (2002~2005, 3년 만에 100만 배럴 증가)
⊙ 중국의 석유소비 증가율 2000~2001년 연평균 10% 수준, 2003년 12%, 2004년 16% - 통계: 국제 에너지 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
⊙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에너지 수요 증대로 산유국의 여유분 즉, OPEC의 여유 생산능력 규모 감소
⊙ 중국 페트로차이나(PetroChina), 브라질 페트로브라스(Petroleo Brasileiro, 페트롤레우 브라질레이루) 국영 석유회사의 지속적 Upstream 개발 통한, 슈퍼 메이저와의 경쟁능력을 갖춤
2) 유가의 자기 조정 메커니즘 약화
⊙ 밀레니엄 전후로 주요국에서 저금리 기조 형성으로 인한 상품시장 투자 촉발 → 국제유가 상승
3) 지정학적 위험 만성화
⊙ 2001 - 9.11 테러
⊙ 2002 - 미국 부시 대통령 '악의 축' 발언
4) OPEC을 비롯한 석유 공급자 영향력 강화
셰일 혁명 (Shale Revolution)
⊙ 국제유가 (고유가 붕괴) : 2014년 상반기, 100 USD대 유지 전망 → 2014년 6월, 114 USD → 2014년말부터 급락, 70 USD 대 → 2015~2016, 30 USD → 2016년 하반기, 20 USD 대 → 2017~2019년 상반기, 50~60 USD 박스권 유지
⊙ 2004 - 미국 미첼에너지(Mitchell Energy)가 수압파쇄를 통한 천연가스 개발 기술 개발/적용으로 채산성 ↑
⊙ 2014 - 유가 전쟁 & 미국 셰일가스 개발 붐 절정 → 석유패권 재편, 공급과잉으로 상대적 저유가 유지 중
⊙ 셰일혁명(2010~2014) 기간 : 미국 셰일 개발 사업은 GDP 4,340억 USD 증가, 일자리 270만개 창출, 세수 1,110억 USD 증가
⊙ 2019.09 - 미국 석유 수입량보다 수출량이 앞서기 시작, 1일 평균 생산량 1,200만 배럴 돌파
⊙ 2016.11 - OPEC 감산합의 (2017~2019, 감산합의 지속 연장 → 2020년초, 러시아 거부로 감산합의 실패)
셰일 혁명發 유가전쟁 → 사우디의 완패
2014년 상반기 | - Shale 증산/공급 과잉 - 유가 하락 시작 - 전문기관은 하반기 100 USD 대 유지 전망 |
2014년 하반기 ~ 2015년 | - 2014년 말, 70 USD 대까지 하락 - OPEC 생산 동결 (사우디) : 증산 결정과 동일, 유가 급락 - 2015년 초저유가 유지 - Shale 생산은 감소하나, 산업 체질은 개선 : 일시 생산 감축/중단, 고비용 업체 파산, 구조조정, M&A |
2016년 상반기 | - 유가 Free Fall, 20 USD 대까지 하락 - 사우디의 위기 증폭 : 재정 악화, 외환보유고 급감, 셰일/샌드오일 고사 실패, 시장통제력 상실 - 타 산유국들 사우디 외면 |
2016년 하반기 | - Exit 전략과 명분 부재 - 감산으로 유가 회복 필사적 추구 : 사우디만의 감산 - 사우디 리더십, 통제력 상실 : 국채 발행, 국가 자산 매각 |
2017년 ~ 2019년 상반기 | - 유가 일부 회복 : 50~60 USD (40~80 USD) 박스권 돌입 - Shale 구조 혁신으로 생산 회복 - Shale을 필두로 한 미국의 시장 지배력 확대 |
비전통적 오일 (Unconventional Oil) - 셰일 오일 (Shail Oil)
⊙ 셰일 (Shale) : 지하 3,000m 지역 암반층
⊙ 셰일 자원 : 오랜 세월동안 모래와 진흙이 수평으로 퇴적하여 굳어진 암석층(혈암, Shale)에 함유된 자원
⊙ 셰일 가스 (Shale Gas) : 탄화수소가 풍부한 셰일층에서 개발, 생산하는 천연가스 (메탄 70~90%, 에탄 5%, 콘덴세이트 5~25%)
⊙ 셰일 오일 (Shale Oil) : 원유 성분 물질인 케로겐(Kerogen)을 함유한 퇴적암에서 추출하는 석유로 탄소함유량이 많고 황 함량이 적은 경질유
⊙ Shale층(이판암/혈암: 점토)에 Pocket 형태의 Oil 존재하며 저류층, 구조, 덮개암이 필요 없음 → No Porosity, No Permeability → No Flow
⊙ 전통 오일(Conventional Oil)에 비해 개발 단가가 비쌈 : 상대적으로 더 깊게 작업해야 하고, 심부까지 시추하기 위해 많은 기술이 필요함
셰일 오일 생산 핵심 기술
1) 수평시추법 (Horizontal Drilling)
⊙ 수직시추 후 문어발식으로 수평 시추하는 기술
⊙ 셰일과 같은 퇴적층에 철근 콘크리트 관과 같은 관체 자체를 수평으로 밀면서 굴착하는 방법
2) 수압파쇄법 (Hydraulic Fracturing)
⊙ 고압의 물을 주입하여 지하의 암석을 파쇄하는 기술
⊙ 지하 일정 지역의 Shale층을 파쇄 → Poketed Oil의 Flow → 자연압에 의해 시추관으로 분출 (생산)
셰일 오일 최대 생산국 '미국'의 성공 원인
⊙ 장기간 축적된 석유개발 기술력
⊙ 풍부한 자금력 기반 민간주도 (시장/자본에 의한 주도)
⊙ 정부 세제 혜택
⊙ 땅 주인(Land Owner)에 대한 광물권 인정
⊙ 파이프라인 등 인프라 경쟁력
⊙ 셰일 개발에 필수적인 물 자원 접근성
⊙ 저인구 밀도지역의 개발 용이성
셰일자원의 국가별 현황
(출처: 2017, 한국에너지공단)
⊙ 생산량 : 대부분 미국에서 생산, '17년 기준 셰일오일 18억 배럴, 셰일가스 4,200억 입방미터 생산
⊙ 부존잠재량 : 전 세계(46개국)의 셰일오일과 셰일가스 매장량은 각각 3,350억 배럴, 207조 입방미터, 상위 10개국에 77% 이상 분포
미국의 셰일가스, 오일 생산실적
구분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셰일오일 (단위: 백만 Bbl) | 229 | 478 | 799 | 1,150 | 1,562 | 1,784 | 1,664 | 1,814 | |
셰일가스 (단위: 십억 ㎥) | 138 | 225 | 288 | 321 | 348 | 386 | 403 | 418 |
국가별 셰일오일 부존량 (단위: 십억 Bbl)
1. 러시아 : 75
2. 미국 : 48
3. 중국 : 32
4. 아르헨티나 : 27
5. 리비아 : 26
6. 베네수엘라 : 13
7. 멕시코 : 13
8. 파키스탄 : 9
9. 캐나다 : 9
10. 인도네시아 : 8
국가별 셰일가스 부존량 (단위: bcm, billion cubic meter)
1. 중국 : 31,573
2. 아르헨티나 : 22,710
3. 알제리 : 20,020
4. 미국 : 18,831
5. 캐나다 : 16,226
6. 멕시코 : 15,433
7. 호주 : 12,374
8. 남아프리카 공화국 : 11,044
9. 러시아 : 8,070
10. 브라질 : 6,938
셰일혁명 이후, 글로벌 석유 권력 이동
⊙ 패배 그룹 : 사우디, 러시아, 베네수엘라, 이란, 이라크, 나이지리아
- 올드 패러다임 : 소수 국가의 독과점/가격통제
⊙ 유일한 승자 : 미국 - 석유 최대 생산국
- 혜택 그룹 : 중국, 일본, 미국, 유럽(EU)
- 새로운 패러다임 : 미국 주도 시장/자본의 수요/공급에 의한 결정
역(逆) 오일쇼크 - 2020년 상반기 진행중
⊙ 국제유가 급락 : 2020년 3월 현재, 장중 20 USD 붕괴
코로나19發 유가전쟁 진행중
1) 코로나19 (COVID-19) 대유행(Pandemic, 팬데믹)으로 인한 전세계 에너지 수요 급감
2) 사우디-러시아 '증산 경쟁'
⊙ 2020.03.04 - (OPEC+) 감산합의 실패 : 러시아 감산 거부 → 사우디 증산 맞대응으로 '증산 경쟁'
3) 낮은 채산성, 상대적으로 높은 손익분기점(BEP) 을 가진 미국 셰일업계 손실 막대
⊙ 2014년 셰일 혁명 이후, 지속된 저유가로 셰일업계 영업이익 지속적 악화
⊙ 2015~2016 - 유가 급락으로 100여개 셰일업체 파산 → 비용삭감, 생산거점 이전, 기술개발 등으로 위기 극복했으나
⊙ 월가의 고배당 요구, 광구 생산성 한계 도래 등 악재 다수
⊙ 미국 셰일업체 4년 만기 도래 회사채 860 USD, 이 중 부적격 회사채 60% 수준
⊙ 2020.03.20 - 미국 석유 감산 결정 검토 & 양국(러시아, 사우디) 설득 진행중, 경제 제재 등 후속조치 고려 중
- 작성 2020. 03. 28
'Biusiness Insight > ESG · Ener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G] ESG 실무자들을 위한 업무 Tip (0) | 2022.11.26 |
---|---|
[ESG]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개념 및 글로벌 동향 (0) | 2021.06.12 |
[ESG] 기후변화와 주요국 탄소 배출 규제 현황 및 전망 (0) | 2021.06.03 |
[ESG] 국제 기구별 기후변화 전망 및 주요 보고서 (0) | 2021.06.01 |
ESG 기본개념 (0) | 2021.05.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