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78)
펀드 기준가란 + 기준가 적용일 및 기준가격 조회 방법 펀드 기준가란? - 펀드의 운용 성과가 반영되는 평가 금액을 측정하는 단위 - 펀드 기준가격 : 매일 오전 공시 (즉, 펀드 기준가는 1일 1개 존재) - 펀드 기준가 계산 = 해당 펀드 1,000좌의 가격 (현재 시점에서 펀드 1,000좌를 살 수 있는 가격) 펀드 거래단위 : 좌 펀드에 포함된 상품(주식, 채권, 파생상품, 부동산 등)의 평가 가격이 펀드 기준가에 반영됨 - 펀드의 수익율 : 기준가의 움직임에 따라 결정되는 펀드의 가치 변동율 - 펀드 매입 좌수 계산 (예시) 투자금액 : 100만원 기준가 : 2,000원 매입좌수 : 투자금액/기준가 × 기준가산정단위(원) = 1,000,000 / 2,000 × 1,000 = 500,000 (좌) 펀드 기준가 적용일 - 펀드 상품 구성(채권 or 주식..
[재테크와 금융투자] ⑧-2 연금 1. 연금제도 1.1 연금 History 산업화 시기 : 중앙집권 정부 등장 & 전쟁 → 국가 조직을 중심으로 연금제도 등장 1889년 독일 공적 노령연금 (비스마르크 제도) → 대기업 등장 : 은퇴연금 등장 1,2차 세계대전, 대공황 → 공적연금 강화 영국 : 요람에서 무덤까지 (베버리지 보고서) 미국 : 1933년 사회보장법 1.2 우리나라의 연금제도 - 우리나라의 연금제도 변화 발전 일제강점기 : 군인 관료 은퇴급여 해방 후 : 공무원 연금 1980년대 중반 : 국민연금, 의료보험, 최저임금제 2005년 12월 : 퇴직연금제도 도입 - 3층 구조의 노후소득 보장 장치 2. 연금의 종류 2.1 국민연금 1) 국민연금이란? 가입자인 국민이 노령, 장애 또는 사망으로 소득 능력이 상실 또는 감퇴된 경우 ..
[재테크와 금융투자] ⑧-1 보험 1. 위험 1.1 위험(risk)이란? 손실, 사상, 재난 등이 발생할 가능성 (chance of disaster or loss)을 의미 - 바람직하지 않은 상태(경제적 손실)와 그러한 사태의 발생에 관한 불확실성 내포 - 가장 극단적 위험 : 죽음 - 위험(or 위험에 대한 공포)으로 인해 → 종교 발생, 경제적 위기 등 1.2 위험의 분류와 특성 - 보험 가능성을 따지는 1차적 기준에 의한 분류 순수 위험 - 전통적인 보험 대상 투기적 위험 - 손실의 기회 有 (최선의 경우 손실 無) - 이득의 기회 無 (예: 사망, 화재, 홍수 등) - 도덕적 해이 상대적으로 적음 → 손실발생 예측 가능 - 손실의 기회 有 - 이득의 기회 有 (예: 복권, 도박 등) - 순수 위험 구분 1) 재산위험 : 자연재해 ..
[포트폴리오] 국민연금 미국주식 포트폴리오(13F), 수익률 확인하기 국민연금 투자현황 포트폴리오 -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 접속 : NPS 국민연금기금운용본부 ※ 2021년 2분기(6월말) 기준 구분 비율 (%) 금액 (조원) 전체자산 100 % 908.3 복지부문 0.0 % 0.2 금융투자부문 (금융투자부문 계) 99.8 % 906.6 주식 국내 20.3 % 184.3 해외 25.7 % 233.8 채권 국내 37.3 % 338.6 해외 5.8 % 52.4 대체투자 10.4 % 94.6 단기자금 0.3 % 2.9 기타부문 0.2 % 1.5 국민연금 미국주식 포트폴리오 Top 15 투자종목 (13F 보고서 기준) 1. whalewisdom.com 접속 : NATIONAL PENSION SERVICE Top 13F Holdings (whalewisdom.com) 2. nati..
[포트폴리오] 워렌버핏 포트폴리오, 기관/대가들의 종목 확인 (13F) 미국에 증시에 1억 달러(한화 1,170억) 이상 투자 자산/주식을 보유한 기관 및 투자자들은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분기별로 "Form 13F" 매매 내역 보고서 제출을 필수로 해야한다. 13F 보고서는 모든 투자 포지션을 공개해야 하며, 포트폴리오에 포함된 미국 상장주식수(ETF 포함)와 종목코드를 표기해야 하고 보고서 제출 의무는 모든 IB(투자은행), 보험회사, 헤지펀드, 연기금, 기관 및 개인투자자 등 예외 없이 제출해야 한다. 매 분기 종료 후 45일 이내에 SEC에서 "Form 13F"를 제출해야 하고, 13F 공시는 일반인에게 공개된다. 이 보고서를 일반인이 쉽게 볼 수 있도록 정리해서 공개하는 사이트(whalewisdom)를 통해 기관 및 투자 대가들의 포트폴리오를 볼 수 있다. ※ 주..
[주식 종목 분석] EV/EBITDA 의미 해석과 계산 방법 EV (Enterprise Value) - 기업 가치 (기업의 시장가치 지표) - 기업 매수자가 매수 시 지급해야 하는 금액 - 시가총액 + 순차입금 = 시가총액 + (총차입금-현금성자산)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 순이익 (세전영업이익) - 영업이익(EBIT) + 감가상각비(DA) - 이자비용 (Interests), 법인세(Taxes), 감가상각비용(Depreciation & Amortization)을 빼기전 영업 이익으로, 손익계산서의 항목(당기순이익, 이자비용, 세금)에 감가상각비를 더함 더 정확히 기업의 현금흐름을 파악하려면 재무제표/현금흐름표를 확인해야 하나, 증권사나 IB(투자은행)들은 E..
[주식 종목 분석] 'PER, PBR, EPS, BPS, ROE' 의미 해석과 계산 방법 EPS, PER, BPS, PBR, ROE 용어 요약 (한눈에 보기) [관련글] 기업가치 평가 방법 ☞ 기업가치평가 (Valuation) 방법 EPS 주당 순이익 (Earning Per Share, 株當純利益) - 기업의 순이익(당기순이익)을 유통주식수로 나눈 수치 - 1주당 얼마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기업의 수익성을 비교해보기 좋음) - EPS가 높을수록 배당여력이 크다는 의미로 주가에 좋은 영향 - 기업 예상 주가 계산 : 예상 EPS × PER PER 주가수익비율 (Price earning ratio, 株價收益率) - 주가와 EPS(주당 순이익)을 비교하는 지표 - 주가가 그 회사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지를 알 수 있음 - 1주당 주가를 EPS로 나눈 값. 다만 더 간단하게 시가총..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 주식투자에서 상식으로 성공하는 법 린치의 법칙(Lynch Law) : 린치에게 좋은 일이 생기면 시장이 하락한다 1944년 1월 19일 - 린치가 태어나던 날 → 다우지수 하락 (병원에 있던 주간에 더 하락) 1968년 5월 11일 - 군 복무 중 결혼 및 1주일간 신혼여행 → 기간 중 다우지수 13.93포인트 하락 1969년 - 한국 복무를 마치고 정규직 애널리스트로 미국 피델리티에 복귀 → 여지없이 주식시장 급락 1974년 - 부소장에서 연구소장으로 승진 → 다우지수 3개월간 250포인트 하락 1977년 5월 - 피델리티 마젤란 펀드 담당 → 다우지수 5개월간 하락 899 -> 801 1987년 여름 - 출판사와 책 출간 합의 및 경력이 절정이던 시점 → 두 달 동안 1,000포인트 하락 # 머리말_아일랜드 여행기 10월에 얻은 교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