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78)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윤동주 유고시집 (1955년, 10주기 기념 증보판 복간 - 정음사 오리지널 디자인) # 自畵像(자화상) - 22~23p.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우물을 홀로 찾아가선가만히 들여다 봅니다。 우물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펼치고 파아랑 바람이 불고 가늘이 있읍니다。 그리고 한사나이가 있읍니다。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엽서집니다。도로가 들여다 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읍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追億(추억)처럼 사나이가 있읍니다。 - 1939年 9月 # 무서운 時間(시간) - 42~43p. 거 나를 부르는것이 누구요、 가랑잎 잎파리 푸르러 나오는 그늘인데、나 아직 여기 呼吸(호흡)이 남아 있소。 한번..
[선택] 스물여섯 청춘의 에베레스트 한동안... ... 산에 가지 못하던 아쉬움을 산악 영화를 보거나 등반기들을 읽으며 대리 만족을 하며 지냈다. 제법 시간이 흘러 다시 등산학교에 왔다. 첫 주차 교육을 마치고, 각기 다른 이유로 등산학교를 찾았지만 같은 조의 인연으로 만난 동기 교육생들과 술 한 잔 기울이며 산 이야기를 나누었다. '왜 등산학교를 찾으셨어요?' 처음이라는 어색함도 잠시, 서로 궁금한 질문들을 쏟아놓고 저마다의 사연을 이야기했다. 지난해 등산학교 히말라야 과정을 다녀온 나의 이야기와 고산 등반 이야기도 안줏거리로 올랐다. 이야기는 흘러 히말라야에서 찰나의 순간에 고(Go), 백(Back)을 판단해야 하는 상황. 그 판단으로 목숨을 잃을 수도, 천금같이 귀하게 얻은 원정 등반의 기회를 포기해야 할 수도 있음을. 그런 어려운 ..
[에너지 혁명 2030] Clean Disruption of Energy and Transportation 인류가 돌을 다 써버렸기 때문에 석기시대가 종말을 맞이한 것은 아니다. 석기시대가 끝나게 된 것은 더 나은 기술인 청동기가 석기를 몰아냈기 때문이다. 바위는 사라지지 않았다. 청동기 시대를 맞아 도구를 만드는 목적으로 더는 쓰이지 않게 되었을 뿐이다. 마차 시대가 끝난 것은 말이 없어졌기 때문이 아니다. 내연기관(휘발유와 디젤)이라는 상위의 기술을 가진 자동차와 20세기의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이 마차 운송산업을 무너뜨렸기 때문이다. 말은 아직 사라지지 안았다. 대중 운송수단의 목적으로는 더는 쓰이지 않게 되었을 뿐이다. 현재의 서유, 가스, 원자력의 시대는 석유나, 천연가스, 석탄, 우라늄이 고갈되기 때문에 종말을 맞게 되지는 않을 것이다. 상위의 기술과 제품 구조, 비즈니스 모델이 이러한 시대를 지탱하고..
[K2] 미국 최초로 K2 등정에 성공한 두 친구의 이야기 영화 K2는 1978년 미국 최초로 K2 등정을 성공한 짐 위크와이어(Jim Wickwire, Seattle 변호사)와 루이스 라이하르트(Louis Reichardt, 교수)의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이다. K2(8,611m)는 에베레스트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높은 산으로 카라코람(Karakoram) 산맥, 파키스탄에 위치한다. K2라는 이름은 1856년 헨리 고드윈 오스턴이 카라코람 산맥의 두 번째 봉우리라는 의미로 붙인 이름으로 다른 봉우리도 K1(마셔브룸산), K3(브로드피크산), K4(가셔브룸 2봉), K5(가셔브룸 1봉) K1-5라는 이름에서 각각 현재의 이름으로 명명되었다. 에베레스트에 비해 높이는 낮지만 등반의 난이도는 더 높고 위험하다고 알려져 있다. 1975년 처음으로 K2 등반을 시..
[달팽이의 별] 이 연인의 사랑은 오늘도, 내일도, 언제까지나 우주에서 가장 빛난다. 태초에 어둠과 적막이 있었다.그 어둠과 적막은 신과 함께있었고 '나'가 나타나자 '나'에게로 왔다. 감독 이승준출연 조영찬, 김순호2012 가장 값진 것을 보기 위해 잠시 눈을 감고, 가장 참된 것을 듣기 위해 잠시 귀를 닫고, 가장 진실한 말을 하기 위해 잠시 침묵 속에서 기다리는 ...이 연인의 사랑은 오늘도, 내일도, 언제까지나 우주에서 가장 빛난다.
산악문학 Reading List 등산학교 4주차 산악문학 수업 - 심산 선생님의 추천 산서 목록틈나는 대로 한 권씩 읽어보려 한다. 그중에서도 첫 번째는 영준 샘이 추천해주신 "사람의 산"한동안 읽을거리가 풍성해져서 부자가 된 기분이다. [사진출처 : 교보문고] # 해외의 산악문학 작가 레슬리 스티븐 - 유럽의 놀이터에드워드 윔퍼 - 알프스 등반기하인리히 하러 - 티베트에서의 7년, 하얀 거미모리스 에르족 - 최초의 8000미터 안나프루나가스통 레뷔파 - 별빛과 폭풍설, 암과 설발터 보나티 - 내 생애의 산들크리스 보닝턴 - 퀘스트, 세계의 대탐험라인홀트 메스너 - 세로 토레, 죽음의 지대, 검은 고독 흰 고독피터 보드맨, 조 태스커 - 창가방 그 빛나는 벽 # 한국의 산악문학 작가 이은상 - 조국강산, 길 따라 물 따라김영도 - 우리..
[그 곳에 산이 있었다] 한국 등산 교육의 산증인 이용대 교장의 산과 인생 이야기 # 살아 돌아오는 것이 자랑이어야 한다 _그래도 살아 돌아와야 한다 – 69p.최근 몇 년 사이 우리의 젊은 산악인 8명이 히말라야에서 희생되었다. 2011년 안나푸르나 남벽에서 박영석, 신동민, 강기석이 목숨을 잃었고 같은 해 촐라체 북벽에서 김형일, 장지명 등이 유명을 달리했다. 2012년엔 에베레스트에서 송원빈이 희생됐다. 연이어 2013년에는 칸첸중가에서 박남수가 가고 에베레스트에서 서성호가 목숨을 잃는 등 너무나 많은 희생자를 냈다.해마다 꽃다운 나이의 수많은 젊은 산악인이 히말라야에 도전하다 목숨을 잃는다. 그렇다면 왜 사람들은 죽음과 마주했던 끔찍한 일들을 기억하면서도 히말라야에 오르려 하는 것일까?등반에 몰입하다 보면 고도와 완등에 대한 욕망을 포기하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등산은 살아서 ..
[저 게으름뱅이는 무엇이든 잘한다] 당신에게는 지금 게으름이 필요합니다! "언니가 이미 봤을수도 있겠지만, 그냥 이거 보니까 언니 생각나서..." 이전날 저녁 늦은 시간까지 메신저로 추석 일정 이야기, 휴가 이야기, 그밖의 이야기를 주고받던 우리.그리고 다음날 아침 늦잠을 자는데 메신저 알람 소리에 일어났더니 라는 세바시 강연 영상 링크가 도착해있었다. '나의 서연이는 어디 있을까...?' 그래!요즘 생각이 뒤죽박죽 정신이 없다.정리를 좀 해야겠다.애쓰지 말고... 애쓰지 않겠다면서또 책은 읽겠답시고회사 도서관에서 책장을 기웃거리고 있는데눈에 들어온 책. "애쓰지 말고 즐겨!"아... 맞아...나 애쓰지 않기로 했지. 세상은 자극적인 것으로 틈을 메우려 안간힘을 쓰지만최악은…안에서 짓누른 에너지를 얻으려고 서로 이용하는 것. – 37-39p. ● 느긋해지는 세 가지 습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