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78)
[가장 쉬운 알고리즘 책] 언제라도 쉽게 오를 수 있는 "알고리즘의 계단"을 향하여 ■ 본문 중에서 #1-1 이해하기 쉬운 알고리즘이 좋은 알고리즘은 아니다#1-2 작은 문제를 풀 수 있다고 큰 문제를 풀 수 있는 것은 아니다 - 문제 크기의 유형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 25∼29p. 그림2. 계산량을 증가시키는 방법 1) Log(n) 배 : 데이터의 양이 10배가 되면 계산량은 3.3배 (문제의 복잡도에 의해 증대)2) N 배 : 데이터의 양이 10배가 되면 계산량도 10배 (문제의 크기에 의해 증대)3) n log(n) 배 : 데이터의 양이 10배가 되면 계산량은 3.3 * 10 = 33배 (문제의 복잡도와 크기에 의해 증대)4) n2 배 : 데이터의 양이 10배가 되면 계산량은 100배 (문제의 난이도와 크기 이외에 다른 요인에 의해 증대) 데이터의 양에 대해 계산량이 어떻게..
[임백준의 대살개문] 대한민국을 살리는 개발자 문화 ■ 본문 중에서 # 지은이의 말 - 6p. 개발자 문화가 뭐냐고 묻는 사람을 위해서 LESS라는 공식도 준비해두었다. Learn(배우고), Enjoy(즐기고), Solve(해결하고), Share(공유하라). 이렇게 네 가지 속성을 모으면 그게 개발자 문화다. #02 부정사용방지 시스템의 배신 - 22∼23p. 신용카드 회사에 있어서 부정사용방지 시스템이란 구글에 있어서 검색 엔진, 마이크로소프트에 있어서 윈도우 운영체제, 월가의 은행들에 있어서 금융거래 시스템에 해당하는 핵심 자산이다. 고객의 신뢰를 통해서 경쟁력을 구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장 중요한 업무 분야인 것이다. 그러한 핵심 자산을 개발하는 업무를 외부의 회사에 맡겼다는 것부터 나는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렇게 하면 개발 비용이 줄어들기 때문..
The Expert (Short Comedy Sketch) 한국에서는 "개발자가 보면 암걸리는 동영상"이라는 제목으로 널리 알려진 "The Expert (Short Comedy Sketch)" - 한국어 자막 있음 Requirements - Seven Red lines . Two with red ink . Two with green ink . And the rest with transparent - All of them strictly perpendicular - One of the lines in the form of a kitten Solution : How to draw seven red lines, all perpendicular, some with green ink, some with transparent ink, and one in the form o..
Humans Need Not Apply [ source : http://www.cgpgrey.com/blog/humans-need-not-apply ] Creative Labor Creativity may feel like magic, but it isn't. The brain is a complicated machine -- perhaps the most complicated machine in the whole universe -- but that hasn't stopped us from trying to simulate it. There is this notion that just as mechanical muscles allowed us to move into thinking jobs that mechanical minds will a..
Must have: Technical skills ■ Web/Internet Technologies HTTP: The Protocol Every Web Developer Must Know - Part 1https://code.tutsplus.com/tutorials/http-the-protocol-every-web-developer-must-know-part-1--net-31177 HTTP: The Protocol Every Web Developer Must Know - Part 2https://code.tutsplus.com/tutorials/http-the-protocol-every-web-developer-must-know-part-2--net-31155 - The communication protocols, languages/APIs, and o..
[윤태영의 글쓰기 노트] 대통령의 필사가 전하는 글쓰기 노하우 75 ■ 본문 중에서 #08 사람들이 듣고 싶은 말이 있다. 그 말을 찾아라 - 32∼33p. 이제 우리는 대통령님을 떠나보냅니다.대통령님이 언젠가 말씀하셨듯이,다음 세상에서는 부디대통령 하지 마십시오.정치하지 마십시오.또다시 '바보 노무현'으로 살지 마십시오.그래서 다음 세상에서는 부디더는 혼자 힘들어하시는 일이 없기를,더는 혼자 그 무거운 짐 안고 가시는 길이 없기를빌고 또 빕니다. #20 대구(對句)를 활용하자. 그러면 절반은 온 것이다 - 67p. 여당은 현실에 살고 야당은 미래에 산다.(중략)남녀가 이별했다. 남자는 과거를 후회했고, 여재는 미래를 걱정했다. #사례둘 너무나 솔직담백한, 그래서 존경스러운... - 182∼183p. "아내 외에 다른 여성에게 끌린 적은 몇 번입니까?""비밀이다!""보신..
[겨울가면 봄이오듯 사랑은 또 온다] 노희경이 전하는 사랑과 희망의 언어 ■ 본문 중에서 # 프롤로그 - 2015 겨울, 노희경말만 남겨진 삶이 아니길말이 마음을 움직이는 도구이길말이 목적이 아니길어떤 순간에도 사람이 목적이길 # 그들이 사는 세상 - 13p.이상하다'당신을 이해할 수 없어.'이 말은 엊그제까지만 해도 내게 상당히 부정적인 의미였는데,지금은 그 말이 참 매력적이란 생각이 든다.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린 더 이야기할 수 있고,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우린 지금몸 안의 온 감각을 곤두세워야만 한다.이해하기 때문에 사랑하는 건 아니구나. # 그들이 사는 세상 - 24p.화이트아웃 현상에 대해서 들은 적이 있다.눈이 너무 많이 내려서 모든 게 하얗게 보이고원근감이 없어지는 상태.어디가 눈이고 어디가 하늘이고 어디가 세상인지그 경계를 알 수 없는 상태.내가 가는 길이 ..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어떻게 원하는 대로 글을 쓸 수 있을까 ■ 본문 중에서 #1 논증(論證)의 미학(美學) - 18-19p.생각과 느낌을 소리로 표현하면 말이 되고 문자로 표현하면 글이 된다. 생각이 곧 말이고, 말이 곧 글이다. 생각과 감정, 말과 글은 하나로 얽혀있다. 그렇지만 근본은 생각이다. 논증의 아름다움을 제대로 보여주는 글을 쓰고 싶다면 무엇보다 생가글 바르고 정확하게 해야 한다. 논리 글쓰기를 잘하려면 먼저 논리적으로 앞뒤가 맞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해관계에 따라 판단 기준을 바꾸고 감정에 휘둘려 논리의 일관성을 깨뜨리면 산문을 멋지게 쓸 수 없다. #2 글쓰기의 철칙 - 50p.문학 글쓰기는 재능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무언가를 지어내는 상상력, 남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느끼는 감수성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논리 글쓰기는 훨씬 덜하다. 조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