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78)
[경제금융용어] 거시건전성 정책 (Macroprudential policy) 거시건전성 정책 (Macroprudential policy) 용어정의개별 금융회사의 부실 방지를 목적으로 하는 미시건전성정책(microprudential policy)과 달리 경제전체의 금융안정을 위해 시스템 리스크(systemic risk)를 억제하는 정책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거시건전성정책(macroprudential policy)의 목표는 시스템 리스크에 대한 선제적 대응, 과도한 금융불균형 축적 억제, 급격한 되돌림 현상(unwinding) 완화, 금융시스템의 복원력(resilience) 강화, 금융연계성 제어 등을 통해 금융위기의 발생가능성과 실물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spillover effects)을 최소화하는 데 있다. 거시건전성정책은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등 여러 다른 정책과 긴밀히..
[경제금융용어] 갑기금 (capital A) 갑기금 (capital A) 용어정의외국은행 국내지점의 대차대조표상 자본금 계정으로 ①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설치 및 영업행위를 위하여 본점이 한국은행 등에 외화자금을 매각하여 해당 지점에 공급한 원화 자금 ② 해당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적립금에서 전입하는 자금 ③ 외국은행 국내지점을 추가로 설치하기 위하여 이미 국내에 설치된 외국은행 국내지점의 이월이익잉여금에서 전입하는 자금 등이 이에 해당한다. 갑기금은 금융위원회로부터 인정받은 금액에 한하여 지점별로 관리하되 각 외은지점의 갑기금은 30억원 이상이어야 한다.(「은행법 시행령」 제26조, 「은행업 감독규정」 제11조) 개요갑기금 설정외국 본점에서 한국 내 지점 운영을 위해 일정 자본금을 송금.이 금액은 금융당국의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하며, 대차대조표상 "..
[にほんご] 일본어 키보드 설정 및 자판 ■ 언어 설치 및 설정설정 → 시간 및 언어 →  언어 → [ 언어 추가 ] → 설치할 언어 선택 " 일본어 " → [ 다음/설치 ] - 키보드 전환 : 윈도우키 + 스페이스 바 ■ 자판(source: 위키피디아)  ■ 언어 설정/변환 없이 일본어 입력 방법유니코드 표 : https://www.unicode.org/charts/PDF/U3040.pdf일본어 입력(웹) : https://www.freemorn.com/keyboard/japanese/구글 입력기 (일본어 선택) : https://www.google.com/intl/ko/inputtools/try/ ■ 히라가나 (ひらがな) 50음도* source : https://ko.wikipedia.org/wiki/%ED%9E%88%EB%9D%BC%EA%..
[경제금융용어] 감응도계수 (感應度係數,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감응도계수 (感應度係數, index of the sensitivity of dispersion) (≒ 전방연쇄효과) 용어정의생산유발계수를 이용하여 각 산업 간의 상호의존관계의 정도를 전산업의 평균치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 크기로 표시한 것이 영향력계수와 감응도계수이다. 전방연쇄효과는 감응도계수를 이용하여 파악한다. 감응도계수는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물에 대한 최종수요가 각각 한 단위씩 증가하였을 때 어떤 산업이 받는 영향, 즉 전방연쇄효과가 어느 정도인가를 전산업 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로 나타내는 계수로서 그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의 합계를 전산업의 평균으로 나누어 구한다. 철강을 예로 든다면 모든 산업부문의 생산이 한 단위 증가하였을 때 철강 품목의 생산을 유발하는데, 감응도계수란 이때철강의 생산유발의..
[경제금융용어] 감독자협의회 (Supervisory Council) 감독자협의회 (Supervisory Council) 용어정의다국적 금융기관들에 대한 효과적인 규제・감독을 위하여 다국적 금융기관의 본점이 소재한 국가(home country)의 감독 당국과 동 기관의 지점 또는 자회사가 소재한 진출국(host country)의 감독 당국들로 구성된 정보공유 및 감독협력 협의체를 의미한다. 금융기관의 영업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반해 규제・감독이 금융기관의 국적 또는 지역기반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개요주요 목적정책 조율:규제기관 간의 정보 공유 및 정책 통합을 통해 감독 체계의 효율성을 제고. 중복 규제 방지와 일관성 확보.위기 대응: 금융 시스템의 불안정성에 대비하여 협력 메커니즘을 마련하고, 공동 위기 대응 방안을..
[경제금융용어] 간접세/직접세 (Indirect tax, Direct tax) 간접세/직접세 (Indirect tax, Direct tax) 용어정의조세는 납세의무자와 실제로 세금을 부담하게 되는 조세부담자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간접세(indirect tax)와 직접세(direct tax)로 구분된다. 납세의무자와 조세부담자가 일치하여 조세부담이 전가(轉嫁)되지 않는 조세를 직접세라고 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증여세, 종합부동산세 등이 있다. 이와 달리 납세의무자와 조세부 담자가 일치하지 않고 조세의 부담이 타인에게 전가되는 세금을 간접세라고 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부가가치세, 개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등이 있다. 간접세는 조세에 대한 저항이 적고 징수가 간편하여 조세수입의 확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개인의 사정을 고려할 수 ..
[경제금융용어] 간접금융/직접금융 (Indirect financing, Direct financing) 간접금융/직접금융 (Indirect financing, Direct financing) 용어정의경제에는 자금 잉여주체와 자금 부족주체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들 사이에 은행이나 저축은행 신용협동기구 등 금융기관이 개입하여 자금을 중개하는 방식을 간접금융(indirect financing)이라고 한다. 즉 금융기관이 일반 대중으로부터 예금을 받아 이를 자신의 명의로 기업 등 다른 경제주체에게 대출해 주는 방식이다. 한편 주식, 채권 발행의 경우와 같이 자금수요자가 금융기관을 통하지 않고 금융시장에서 직접 필요자금을 조달하는 방식을 직접금융(direct financing)이라고 한다. 간접금융에서는 은행이 중추적인 기능을 하고, 직접금융에서는 주식과 채권이 거래되는 자본시장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직접금융과..
[경제금융용어] 가상통화공개 (ICO; Initial Coin Offering) 가상통화공개 (ICO; Initial Coin Offering)  용어정의가상통화(ICO; Initial Coin Offering) 공개는 주로 혁신적인 신생기업(startup)이 암호화화폐(cryptocurrency) 또는 디지털 토큰(digital token, 일종의 투자증명)을 이용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크라우드펀딩(crowd funding)의 한 방식이다. 가상통화공개(ICO)에서 새로 발행된 암호화화폐는 법화(legal tender) 또는 비트코인 등 기존의 가상통화와 교환되어 투자자에게 팔린다. 이 용어는 거래소에 상장하려는 기업이 투자자에게 자기 주식을 처음 공개적으로 매도하는 기업공개(IPO; Initial Public Offering)에서 연유되었다고 볼 수 있다. 기업공개(IPO)..